가톨릭

12월 19일 오늘의 축일자 성인을 알아봅시다. #2

희망의 순례 2022. 12. 19. 05:45
728x90
반응형

축일 맞으신 모두 분들 축하드립니다. (축일자가 많아 세번으로 나눕니다. 이곳에 없으면 아래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링크를 누르면 이동할수 있습니다.
12월 19일 축일자 1
12월 19일 축일자 3

1.복자 빌리암 (William)
축일 12월 19일
신분 수사
활동지역 페놀리(Fenoli)
활동연도 +1205년경


복자빌리암

이탈리아 롬바르디아(Lombardia)
지방의 카르투지오회 평수사인 빌리암의 생애는 거의 알려진 바 없으나 1860년 교황 비오 9세(Pius IX)가 그에 대한 공경을 승인하였다. 그는 철학과 신학을 배운 적이 없었지만 그의 영성생활과 활동은 누구도 흉내 낼 수 없었다고 한다. 그의 성덕은 수많은 기적으로 증명되었다. 이 내용은 비오 9세 교황의 말씀이다. 그는 윌리엄으로도 불린다.

2. 성인 세쿤도 (Secundus)
축일 12월 19일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니코메디아(Nicomedia)
활동연도 +303년

성 키리아쿠스(Cyriacus)와 성 바울릴루스(Paulillus), 성 세쿤두스(또는 세쿤도), 성 아나스타시우스(Anastasius),
성 신디미우스(Syndimius)와 동료 순교자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들이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의 니코메디아에서 순교했다는 사실 뿐이다.

3. 성인 세쿤도 (Secundus)
축일 12월 19일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연대미상

성 다리우스(Darius)와 성 조시무스(Zosimus), 성 바오로(Paulus), 성 세쿤두스(또는 세쿤도)는 소아시아 지방 니케아(Nicaea)에서 순교하였다.

(2,3번은 이름은 같지만 다른 순교자 이십니다.)

4. 성인 신디미오 (Syndimius)
축일 12월 19일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니코메디아(Nicomedia)
활동연도 +303년

성 키리아쿠스(Cyriacus)와
성 바울릴루스(Paulillus), 성 세쿤두스(Secundus), 성 아나스타시우스(Anastasius), 성 신디미우스(또는 신디미오)와 동료 순교자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들이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의 니코메디아에서 순교했다는 사실 뿐이다.

5. 성인 아나스타시오 (Anastasius)
축일 12월 19일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니코메디아(Nicomedia)
활동연도 +303년

성 키리아쿠스(Cyriacus)와
성 바울릴루스(Paulillus), 성 세쿤두스(Secundus), 성 아나스타시우스(또는 아나스타시오),
성 신디미우스(Syndimius)와 동료 순교자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들이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의 니코메디아에서 순교했다는 사실 뿐이다.

6. 성인 아나스타시오 1세 (Anastasius I)

축일 12월 19일
신분 교황
활동지역
활동연도 +401년

성인 아나타시오 1세


막시무스(Maximus)의 아들로서 로마(Roma)에서 태어난 성 아나스타시우스(또는 아나스타시오)는 399년 11월 27일 교황으로 즉위하였다. 그의 재위 기간 중 가장 큰 사건으로는 오리게네스(Origenes)의 단죄를 꼽을 수 있고, 아프리카 주교들에게 강권을 발휘하여 도나투스주의(Donatism)를 반대하도록 한 일이다. 그리고 그는 개인적으로 뛰어난 성덕과 청빈 정신으로 높은 명성을 얻었다. 401년 12월 19일 선종하여 포르투엔시스(Portuensis) 가도에 있는 폰티아누스 카타콤바에 묻혔다.

교황 성 아나스타시우스 1세는 이단자들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대처하였다. 교황의 축일이 "히에로니무스 순교록"(Martyrologium Hieronymi)과 "로마 순교록"(Martyrologium Romanum)에 수록되었는데, 로마 순교록에서는 그날이 "극도의 가난과 굳건한 사도직을 실천한 사람인 성 아나스타시우스 1세 교황을 기념하는 로마의 축일"이라고 하였고, 성 히에로니무스는 열성적으로 사도직을 수행한 교황이라고 극찬하였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