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가톨릭 교리와 기도문

견진성사는 무엇인가요?

by 희망의 순례 2025. 3. 26.
728x90
반응형

*견진성사(堅振聖事)**는 가톨릭 교회에서 중요한 성사 중 하나로, 신자가 성령의 힘을 받으며 믿음을 더욱 굳건히 하고 교회의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확립하는 성사입니다. 견진성사는 보통 어린이가 세례를 받은 후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에 받으며, 신앙을 확립하고 성령의 은사를 받는 중요한 시점입니다.

1. 견진성사의 의미

견진성사는 성령의 힘을 받는 성사로, 신자가 신앙 생활을 더 깊고 성숙하게 살아가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세례성사와 함께 신앙을 완성하는 중요한 성사로 간주됩니다. 견진이란 말은 희랍어 "크리스마"에서 유래한 것으로 "도유", "기름을 바름"이란 뜻입니다. 이 단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신 분은 아오구스티노 성인입니다.

2. 견진성사의 절차

견진성사는 보통 주교사제에 의해 집전되며,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1. 입장과 기도:
    • 신자는 미사나 예식의 시작에 입장하여, 기도찬미로 준비합니다.
  2. 세례의 확인:
    • 견진을 받는 신자는 세례성사를 받았음을 확인받습니다. 이는 신자가 이미 가톨릭 교회의 일원으로서 하느님의 자녀가 되었음을 의미합니다.
  3. 성령의 기도:
    • 신자는 성령의 기도를 받으며, 주교사제가 성령의 은사를 내려달라고 기도합니다.
  4. 견진의 안수:
    • 주교 또는 사제신자의 이마에 기름을 바르며 ‘성령의 은사를 받으라’는 축복을 내립니다. 이를 성령의 기름 부음이라 하며, 신자는 성령의 은사를 받게 됩니다.
  5. 기도와 축복:
    • 마지막으로, 주교나 사제는 신자에게 기도와 축복을 하며 견진성사는 마무리됩니다.

3. 견진성사의 중요한 의미

  • 성령의 은사: 견진성사는 신자가 성령을 받아 믿음을 더욱 굳건히 하고, 교회에서의 사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얻는 성사입니다. 이를 통해 신자는 하느님의 은총을 더 많이 경험하고, 성령의 도움으로 신앙을 살아갑니다.
  • 신앙의 성숙: 견진성사는 신자가 신앙을 성숙시키는 과정이며, 신앙의 여정에서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이 성사를 통해 신자는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책임과 의무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살아가게 됩니다.
  • 교회의 일원: 견진성사를 받은 신자는 교회의 성숙한 일원이 되어, 교회와 공동체 안에서 봉사하고 하느님의 뜻을 실천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4. 견진성사의 준비

견진성사를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준비가 필요합니다.

  • 신앙 교육: 견진성사를 받기 전, 신자는 교리 교육을 통해 기초적인 신앙 지식과 신앙 생활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해야 합니다. 이는 교회에서 제공하는 견진반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신앙의 결단: 신자는 견진성사를 받기 전에 자신의 신앙을 결단하고, 성령의 은사를 받기로 다짐해야 합니다. 신앙을 깊이 이해하고 진지하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신앙의 증인: 견진성사를 받는 신자는 신앙의 증인으로서 살아가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도와 말씀을 통해 신앙을 더욱 풍성하게 해야 합니다.

5. 견진성사 후의 삶

견진성사를 받은 신자는 성령의 은사를 받았다고 믿고, 신앙의 성숙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합니다. 또한, 교회 공동체에서 봉사하고, 신앙을 실천하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성령의 은사를 받음으로써 교회의 일원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하느님의 뜻을 실현하는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결론

견진성사는 신자가 성령의 은사를 받아 믿음을 성숙시키고 교회의 일원으로서 사명을 수행하는 중요한 성사입니다. 이 성사를 통해 신자는 하느님과의 관계를 더욱 굳건히 하고, 교회 공동체 안에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은총을 받게 됩니다. 견진성사 준비는 신앙의 깊이를 더하며, 성령의 인도를 받는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