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일 맞으신 모두 분들 축하드립니다. (축일자가 많아 세번으로 나눕니다. 이곳에 없으면 아래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12월 19일 축일자 #1
12월 19일 축일자 #2
1. 성인 아주토 (Adjutus)
축일 12월 19일
신분 수도원장
활동지역 미시(Micy)
활동연도 +연대미상
아비투스(Avitus)로도 불리는 성 아주투스(또는 아주토)는 로마 순교록에서 다소 혼동스런 목록의 하나이다. 거의 비슷한 시대 그리고 같은 프랑스 오를레앙(Orleans) 근교 미시(Micy) 수도원의 원장이었던 성 아비투스(6월 17일)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 기념하는 미시 수도원의 원장 성 아주투스와 6월 17일에 기념하는 성 아비투스가 동일인인지 아니면 다른 두 인물인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2. 복자 우르바노 5세 (Urban V)
축일 12월 19일
신분 교황
활동지역
활동연도 1310?-1370년

귀족 출신인 기욤 드 그리모아르(Guillaume de Grimoard)는 1310년경 프랑스의 그리자크(Grisac)에서 태어나 몽펠리에(Montpellier)와 툴루즈(Toulouse)에서 공부한 후 마르세유(Marseille)에서 베네딕토회에 입회하였다. 1342년에 박사 학위를 받고 사제품을 받은 후 몽펠리에와 아비뇽에서 교회법을 가르쳤다. 오세르(Auxerre)와 마르세유 수도원의 아빠스를 역임하고, 교황 클레멘스 6세(Clemens VI)에 의해 수차례 교황 특사로서 여러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는 1362년 9월 28일 교황 인노켄티우스 6세(Innocentius VI)를 계승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자 즉시 교회 개혁에 착수하는 한편 교회에 적대적이었던 밀라노(Milano)의 베르나보 비스콘티(Bernabo Visconti)와 굴욕적인 평화조약을 체결하였다. 카를 4세(Karl IV) 황제의 요청에 따라 그는 아비뇽에서 로마(Roma)의 교황좌로 돌아왔는데, 이것은 반세기만에 이루어진 큰 사건이었다. 우르바누스(Urbanus, 또는 우르바노) 교황은 성직자 규칙을 강화하고 신심 부흥에 심혈을 기울였다. 1369년 그는 카를 4세의 왕비를 황후로 대관하였다. 1370년 페루자(Perugia)에서 교황에 대한 반란이 일어나 이탈리아가 전쟁에 휩쓸리게 되었을 때 스웨덴의 성녀 비르지타(Birgitta, 7월 23일)의 예언에도 불구하고 아비뇽으로 귀향하여 그곳에서 중병에 걸려 그 해 12월 19일에 선종하였다. 아비뇽 주교좌성당에 안장된 그의 시신은 1372년 마르세유의 성 빅토르 아빠스좌 수도원으로 옮겨졌다.
그는 1879년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시복되었다.
3. 성인 조시모 (Zosimus)
축일 12월 19일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연대미상
성 다리우스(Darius)와 성 조시무스(또는 조시모), 성 바오로(Paulus), 성 세쿤두스(Secundus)는 소아시아 지방 니케아(Nicaea)에서 순교하였다.
4. 성인 치리아코 (Cyriacus)
축일 12월 19일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니코메디아(Nicomedia)
활동연도 +303년
성 키리아쿠스(또는 치리아코)와 성 바울릴루스(Paulillus), 성 세쿤두스(Secundus), 성 아나스타시우스(Anastasius), 성 신디미우스(Syndimius)와 동료 순교자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들이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하의 니코메디아에서 순교했다는 사실 뿐이다.
5. 성녀 테아 (Thea)
축일 12월 19일
신분 동정 순교자
활동지역 가자(Gaza)
활동연도 +307년
팔레스티나(Palestina)의 가자에서 태어난 성녀 메우리스(Meuris)와 성녀 테아는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에서 순교하였다. 성녀 메우리스는 고문을 받는 도중 감옥에서 사망하였고, 성녀 테아는 첫 고문에서는 살아남았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다. 그들은 7월 25일에 기념하는 성녀 발렌티나(Valentina)와 성녀 테아(Thea)와 동일인물로 보인다.
6. 성인 티모테오 (Timothy)
축일 12월 19일
신분 부제, 순교자
활동지역 아프리카(Africa)
활동연도 +250년
성 티모테우스(Timotheus, 또는 티모테오, 디모테오) 부제는 데키우스 황제 치하의 아프리카에서 산 채로 불태워져 순교하였다
7.성녀 파우스타 (Fausta)
축일 12월 19일
신분 부인
활동지역 시르미움(Sirmium)
활동연도 +3세기

성녀 파우스타는 판노니아(Pannonia) 지방 시르미움[오늘날의 세르비아 북부 사바(Sava) 강 유역 스렘스카 미트로비차(Sremska Mitrovica)]의 성녀 아나스타시아(Anastasia, 12월 25일)의 어머니로서, 성녀 딸을 키운 미덕을 지닌 어머니의 모범이었다. 그녀는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을 둘러싼 주랑 위에 있는 140명의 성인상의 주인공 중 한 명이다
'가톨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2월 12일 저녁 성무일도 (0) | 2025.02.12 |
---|---|
이해인 수녀님 - 오늘을 위한 기도. (0) | 2023.09.18 |
12월 19일 오늘의 축일자 성인을 알아봅시다. #2 (0) | 2022.12.19 |
12월 19일 오늘의 축일자 성인을 알아봅시다. #1 (0) | 2022.12.19 |
묵주기도 오늘은 무슨 신비를 바쳐야 할까요? (0) | 2022.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