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톨릭 그리스도 성체 성혈 대축일이란?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Corpus Christi)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체성사 안에 참으로, 실제로, 실체적으로 현존하심을 기념하고 경배하는 가톨릭의 대축일입니다.
부활 시기 이후 첫 번째 목요일(혹은 주일)에 지내며,
성체의 신비를 공적으로 찬양하고, 신자들이 성체의 의미와 영성체의 은총을 깊이 새기는 날입니다.
---
📖 성체 성혈 대축일의 역사와 유래
📌 초창기
초기 교회부터 성체 성사는 미사 안에서 항상 중심 전례였지만, 이를 특별히 기념하는 축일은 없었습니다.
📌 시초 — 성녀 율리아나
13세기 벨기에의 성녀 율리아나(Juliana of Liège)는
어느 날 환시를 통해 달에 검은 얼룩이 있는 모습을 보게 되는데,
이것이 교회 전례력에 성체의 신비를 공적으로 기념하는 축일이 없다는 것을 상징한다는 계시를 받습니다.
이에 성녀 율리아나는 교황에게 축일 제정을 청원하고,
1246년 리에주 교구에서 처음으로 성체 축일 미사와 성체행렬이 시행됩니다.
📌 교황 우르바노 4세(1264년)
성녀 율리아나의 환시와 성체에 관한 기적 사건(성체가 피를 흘린 사건)이 알려지자
교황 우르바노 4세(Urban IV)는 1264년 전 교회가 지키는 축일로 제정하고,
미사와 성무일도를 위해 성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전례 기도문을 작성하게 했습니다.
---
📌 무슨 날인지, 무엇을 하는가?
📖 성체 성혈 대축일의 의미
이 날은 예수님께서 최후의 만찬 때 제정하신 성체성사를 기념하며,
빵과 포도주가 예수님의 몸과 피로 변하는 성사의 신비를 공적으로 고백하고 찬양합니다.
신자들은 성체 안에 살아계신 예수님께 경배를 드리고,
성체의 은총을 깊이 새기며 사랑과 일치를 실천할 것을 다짐합니다.
📖 무엇을 하는 날인가?
1. 미사 봉헌
성체성사의 의미를 묵상하며 특별 미사를 봉헌
성 토마스 아퀴나스가 쓴 ‘O Salutaris Hostia’, ‘Pange Lingua’, ‘Tantum Ergo’ 등의 성체 찬미가 전례에서 사용
2. 성체 행렬 (Corpus Christi Procession)
축복받은 성체를 성광에 모시고 거리 행렬
마을, 성당, 도시를 성체로 축복하며 신앙의 고백과 성체 신심의 외적 표현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성체 거동이라고도 불림
3. 성체조배와 성체 찬미
미사 전후에 성체 앞에서 조용히 기도하고 경배
성체성사에 대한 믿음과 사랑을 새롭게 고백
---
📌 성체 성혈 대축일의 신학적 의미
성체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실제로 현존하시는 거룩한 성사
‘나누는 성찬의 신비’를 통해 교회 공동체가 그리스도의 몸을 이루는 일치를 체험
성체를 통하여 신자들은 하느님과 친교를 이루며, 이웃 사랑을 실천할 힘을 받음
그리스도의 몸을 모신 우리가 세상 안에서 하느님의 사랑을 실현하는 삶을 살아야 함
---
📖 성체 성혈 대축일을 위한 대표 성경 구절
요한복음 6,51
“나는 하늘에서 내려온 살아 있는 빵이다. 누구든지 이 빵을 먹으면 영원히 살 것이다. 내가 줄 빵은 세상의 생명을 위한 내 살이다.”
마태오 26,26-28
“이는 너희를 위하여 내어줄 내 몸이다. … 이는 죄를 용서해 주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내 피다.”
---
📌 한눈에 보는 성체 성혈 대축일
구분 내용
명칭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Corpus Christi)
날짜 성령 강림 후 첫 목요일 (한국은 주일로 옮겨 지냄)
의미 성체성사를 기념하고 예수님의 현존을 공적으로 찬양
유래 13세기 벨기에 성녀 율리아나 환시 → 우르바노 4세 제정 (1264)
주요 전례 미사, 성체행렬, 성체조배, 성체 찬미
전례 색상 흰색 (축제의 상징)
---
📖 마무리 묵상
성체 안에 살아계신 그리스도께 경배하고, 그분의 몸을 받아 모신 우리가 서로 사랑하며 하나 된 교회를 이루어야 함을 기억하는 날입니다.
이번 성체 성혈 대축일에는
성체 앞에 머물며 조용히 경배하고, 성체의 은총을 삶 속에 실천해 보세요.
'가톨릭 > 가톨릭 교리와 기도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톨릭 세례자 요한 탄생 대축일 완전 정리 (날짜, 전야미사, 기도문, 묵상) (0) | 2025.06.23 |
---|---|
가톨릭 삼위일체 대축일이란? 날짜, 의미, 전례, 신학적 의미 총정리 (0) | 2025.06.13 |
가톨릭 성령강림 대축일, 성령칠은 뜻과 7가지 은총 알아보기 (3) | 2025.06.07 |
한국 최초 추기경,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님의 생애와 시복 시성 기도문 (1) | 2025.05.20 |
가톨릭 성소주일이란? 의미, 유래, 활동 , 기도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기 (1) | 2025.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