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가톨릭 정보

시노드란 무엇인가요? 가톨릭 ‘함께 걷는 교회’ 한눈에 이해하기 (시노드 공의회 차이)

by 희망의 순례 2025. 9. 24.
728x90
반응형

시노드(Synod)란?
시노드는 ‘함께 길을 걷는다’는 뜻으로, 가톨릭교회가 중요한 주제를 두고 함께 듣고 토론하며 방향을 정하는 공적 과정과 회의를 말해요. 주교들이 중심이지만, 신학자·수도자·평신도도 참여해 다양하게 목소리를 나눕니다. 핵심은 ‘경청’과 ‘영적 분별’이에요.

왜 중요한가?
- 교회의 현재 과제를 파악하고 공동의 해법을 찾기 위해  
- 지역 교회의 의견을 폭넓게 반영하기 위해  
- 선교, 교육, 사회문제(환경·이주·디지털 문화 등)에 대한 실제적 지침을 만들기 위해

역사와 제도
- 초대 교회부터 지역 모임(공의회·시노드)이 전통으로 이어짐  
- 현대적 제도화: 1965년 교황 바오로 6세가 ‘주교 시노드’를 정례화  
- 결과물: 교황 권고문, 사목 지침 등으로 각 교구·본당에 적용

어떻게 진행되나? (3단계 요약)
1) 본당·교구 경청: 설문, 소그룹 나눔으로 신자들의 목소리 수집  
2) 대륙·국가 단계 정리: 주교회의가 핵심 이슈를 묶어 정리  
3) 전 세계 총회(바티칸): 주교·전문가·평신도 대표가 토의 → 교황 권고문 발표

시노드 vs 공의회, 뭐가 다를까?
- 공의회: 교회 전체 차원의 가장 높은 회의(예: 제2차 바티칸공의회), 교의·규범의 큰 변화를 다룸  
- 시노드: 특정 주제에 대한 정례적 토의·자문 성격이 강하지만, 실제 사목 방향에 큰 영향

요즘 시노드의 키워드
- 공동합의성(시노달리타스): 모두가 함께 듣고 함께 책임지는 교회  
- 참여 확대: 평신도(특히 여성·청년) 참여와 표결권 확대 흐름  
- 투명성·책임성: 학대 방지, 재정 투명성, 소통 강화  
- 주변부의 목소리: 가난, 이민, 환경, 디지털 격차 등

한국 교회와의 연결
- 교구별 경청 모임, 본당 설문 및 소그룹 나눔 활성화  
-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사목 계획 수립(청년사목, 가정·환경 사목 등)

요약
시노드는 교회가 서로의 이야기를 듣고 성령의 인도 안에서 함께 길을 정하는 “공동 분별의 과정”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